2015年3月8日日曜日
[KR] R35 GT-R에 부스트컨트롤러는 금물!
이것은 풀튠시의 부스트 그래프로, 정점 이후 마지막까지 깨끗한 라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당신의 부스트 그래프가 요동을 치고 있다면 이것은, 흡기 타이밍이 적절하지 않거나, 낙의 발생으로 ECU가 부스트를 낮춘 것을, 외장 부스트컨트롤러가 강제로 끌어 올리고, 이를 다시 ECU가 끌어내리는.....원래 부스트컨트롤러의 작동원리이기는 합니다만, R35에서 만큼은 '부스트 제어의 충돌'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습니다.
R35 GT-R의 ECU는 적극적으로 부스트를 제어하여 언제나 동일한 출력이 나올 수 있도록 컨트롤하고 있는 것은 물론, 낙(Knock)을 보다 적극적으로 회피하여 엔진이 깨지지 않도록 합니다.
그러나, 외장 부스트컨트롤러를 장착하면, ECU가 이상을 감지하여 점화시기를 늦추고 부스트를 급격히 빼는 낙회피 제어까지도 방해해 버리기 때문에, 고부하 주행에서는 엔진 블로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하이옥테인(고급) 개솔린의 경우에도, 그 옥탄가는 브랜드와 생산시기에 따라서 달라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주유소의 저장 상태에 문제가 있거나, 조악한 휘발유를 혼합하는 불법행위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주행에 문제가 없던 맵이라 해도, 언제든 낙의 위험에 노출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35 GT-R은 터빈 교환 등으로 아주 높은 부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순정제어를 살려서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登録:
コメントの投稿 (Atom)
0 件のコメント:
コメントを投稿